심리학의 오해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1-12 03:55
본문
Download : 심리학의 오해.hwp
스키너는 인간의 정신이나 사고 등의 인간행동의 동기나 이유를 說明(설명) 하는 가설적 구성체에 관련된 theory 을 거부한다.
설명
순서
저자는 심리학의 과학적 특징들과 사이비 과학에 대한 비판의 기준을 10가지로 나누어 쉽고 해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따‘심리학의 오해’에서 저자가 제시한 10가지의 심리학의 특징 (혹은 사이비 심리학을 구분하는 방법)을 정리(整理) 했습니다. , 심리학의 오해인문사회레포트 ,
심리학의 오해
1. 심리학이란 무엇인가
2. 심리학은 활동적이고 건강하다
3. 반증가능성
4. 조작주의와 본질주의
5. 상관관계와 인과관계
6. 증언서와 example(사례) 연구 증거
7 “그렇지만 이것은 실제 삶이 아니잖아요!“
8. 아인슈타인 증후군
9. 인간인지의 아킬레스건
10. 과학의 Rodney Dangerfield
심리학과 직접적 관련이 없는 일반대중들은 자신들이 아는 상식선에서 ‘심리학이란 무엇인가’ 에 대해 생각할 때 지그문트 프로이드와 B.F 스키너를 떠올린다. 현대 심리학은 많은 분야에 걸쳐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며 방대한 영역에 걸친 연구를 하고 있다
2. 심리학은 활동적이고 건강하다
(그리고 여러 과학 속에서 잘 해내고 있다)
일반인들의 심리학에 대한 오해중의 하나는 (주로 사이비 심리학에서 주장되는 것인데) 심리학은 무엇이든지 주장될 수 있으며 그 주장을 평가할 수 있는 합리적인 기준이 없는 모호한 학문이라는 것이다.
그런데 이 둘은 모두 현재의 심리학을 전혀 대표하지 못한다. 그와는 크게 대조적으로 프로이드는 행동주의자들이 무시하는 가설적 구성체라 부르는 theory 들을 주로 사용하여 인간행동을 說明(설명) 한다.
일반인들은 심리학자들에게 있어서는 오래되고 잊혀진 두 사람의 theory 을 심리학전체의 통합된 모습으로 생각하고 심리학이 극단적이며 모순을 안고 있는 제한된 학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상은 그렇지 않다. 인간의 행동은 오직 인간을 둘러싼 環境의 산물일 뿐이며 행동에 어떠한 가상적인 과정들 (예를 들면 마음이나 정신에 관련된 theory ) 이 작용하던지 않하던 지간에 그런 가상적인 과정들은 인간의 행동을 說明(설명) 하고 예언하는데는 필요 없다는 것이 스키너로 대표되는 행동주의자들의 입장이다.





,인문사회,레포트
Download : 심리학의 오해.hwp( 22 )
레포트/인문사회
저자는 심리학의 과학적 특징들과 사이비 과학에 대한 비판의 기준을 10가지로 나누어 쉽고 해설적으로 제시하고 있다. 즉 둘은 행동을 說明(설명) 하는데 있어서 양극단에 서있는 셈이다. 오히려 현대의 심리학은 그 둘 모두에 내재되어있는 극단적 성격을 (스키너의 경우는 theory 의 무시, 프로이드의 경우에는 불충분한 행동데이터에 기초한 theory 의 구축)모두 지양하고 비판하고 있다 현재의 심리학은 서로 대조적인 두 입장의 중간쯤에 위치하면서 행동의 가설적 구성체인 theory 의 필요성(必要性)을 인정하고 theory 의 생성과 충분한 검증을 위해서 연구의 일차적 베이스인 행동을 중시한다.‘심리학의 오해’에서 저자가 제시한 10가지의 심리학의 특징 (혹은 사이비 심리학을 구분하는 방법)을 정리했습니다. 그러나 실제로 심리학…(skip)
다.